[뉴스문 = 이수진 기자]
올해 들어 서울의 중위소득 가구가 중위가격 아파트를 구입할 경우 소득의 39%를 주택담보대출 원리금 상환에 쓴 것으로 나타났다.
하반기 이후 주택 가격 상승에 따라 주택 구입 부담도 다시 증가할 전망이다. 이는 주택 가격보다는 대출 금리 하락의 영향이 컸다.
한국주택금융공사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국의 주택구입부담지수(K-HAI)는 62.8로 전 분기(64.6)보다 1.8포인트 하락했다. 주택구입부담지수는 중위소득 가구가 중위가격 주택을 표준대출로 구입한 경우 원리금 상환 부담의 정도를 나타낸 지수다.
총부채상환비율(DTI) 25.7%와 주택담보대출비율(LTV) 47.9%의 20년 만기 원리금 균등 상환 조건을 표준대출로 가정했을 때, 이 지수가 62.8이라는 것은 가구당 적정 부담액(소득의 25.7%)의 62.8%를 주택담보대출 원리금으로 부담하고 있다는 의미다.
전국의 주택구입부담지수는 2022년 3분기 89.3으로 최고 수준을 기록한 뒤 올해 1분기까지 6분기 연속 하락했다.
지역별로는 올해 1분기 서울의 주택구입부담지수는 151.0으로 전 분기(156.0)보다 하락했으며, 소득의 38.8%를 주택담보대출 원리금 상환에 사용한 셈이다. 세종은 100.5로 서울을 제외하면 유일하게 100선을 웃돌았다.
경기(82.1), 제주(74.7), 인천(66.6), 부산(64.9), 대전(62.9), 대구(57.0), 광주(52.8) 등이 50 이상이었으며, 울산(46.6), 경남(38.6), 강원(37.0), 충남(35.0), 충북(34.6), 전북(32.5), 경북(30.0) 등이 뒤를 이었다. 전남은 28.8로 전국에서 가장 낮았다.
지난해 4분기와 비교해 지역별 순위 변동은 없었다.
올해 1분기 전국 주택 가격은 보합을 기록한 가운데 소득은 소폭 상승하고 금리가 내려 지수가 하락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5월 예금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신규 취급액 기준)는 3.91%로 지난해 11월(4.48%) 이후 7개월 연속 하락했다. 은행채 5년물과 코픽스(COFIX) 등 지표금리가 하락한 영향이다.
대환대출 활성화에 따른 금리 인하 효과도 일부 반영됐다.
그러나 주택구입부담지수는 1분기 바닥을 찍고 2분기부터 다시 상승할 전망이다. 주담대 금리는 내렸지만 5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계약일 기준)이 2021년 8월 이후 처음 5000건을 넘어서며 주택 시장이 활기를 띠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이 최근 발표한 6월 주택가격전망지수도 108로 전월(101)보다 7포인트 상승했다. 지난해 10월(108)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의 함영진 랩장은 “최근 서울과 수도권에서 전셋값 상승에 따라 매매 가격도 오르는 분위기”라며 지역별 온도 차를 고려할 때 2분기 주택구입부담지수도 반등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